고령층 가구 소비성향 뚝뚝…"전체 경제 소비 규모 감소 가능성↑"


(서울=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자산보다 소득이 늘어날 때 고령층 가구의 소비 증가 효과가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고령층 가구의 소비 수준이 낮은 상황에서 고령화가 진전하면서 전체 경제의 소비 지출 규모가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도 나왔다.


5일 국회예산정책처의 '고령층 가구의 소득과 자산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고령층 가구의 총소득이 1% 증가하면 소비 지출은 0.19% 늘었다.


보고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06∼2016년 고령화 연구 패널조사를 토대로 이같이 분석했다.


소득 중에서는 임금소득과 자영업소득, 농어업 소득, 부업소득 등 근로소득 효과가 컸다.


고령층 일자리 창출 정책이 소비 진작에 효과적인 대책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근로소득이 1% 늘어나면 소비 지출은 0.09% 증가했다.


금융·부동산 등 자산소득이 같은 폭으로 증가하면 소비 지출은 0.01%, 이전소득이 늘면 소비 지출은 0.04%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전소득을 세부적으로 보면 공적 이전소득의 소비 증가 효과가 컸다.


국민연금, 기초연금 등 공적 이전소득이 1% 증가하면 소비 지출은 0.05% 늘었다. 자녀에게 받은 용돈과 같은 사적 이전소득의 경우 소득을 0.01% 늘리는 데 그쳤다.


가구 총자산이 1% 늘면 소비 지출은 0.08% 증가하는 데 그쳤다. 총소득 증가로 빚어진 소비 효과(0.19%)의 절반이 채 되지 않았다.


자산 중에서는 부동산자산이 금융자산보다 소비 지출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부동산자산의 가치가 1% 증가하면 소비 지출은 0.04% 늘어나지만 금융자산의 가치가 1% 늘어나면 소비 지출은 0.02% 증가하는 데 머물렀다.


보고서는 고령층 가구일수록 소비 수준이 낮고 평균 소비 성향이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가구주 연령이 60대 이상인 가구의 평균 소비성향(소비 지출/처분가능소득)은 2006년 79.5%에서 2016년 67.2%로 12.3%포인트 하락했다.


평균 소비성향 수준은 2016년 전체 가구 평균(71.1%)보다 낮았다.


다른 연령대 가구에서도 평균 소비성향이 대체로 떨어지고 있으나 10년간 하락 폭은 60대 이상에서 가장 컸다.


이는 고령층의 경우 소득은 적고 상대적으로 소비는 많아 평균소비성향이 중장년층보다 높다는 기존 이론에 배치되는 현상이다.


고령층이 되며 은퇴해 소득이 줄지만 불확실성이 커 소비를 더 큰 폭으로 줄이고 자산을 축적하려다 보니 소비성향이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된다.


보고서는 "인구구조가 점차 고령화되고 있는 우리나라 상황에서 향후 소득의 큰 변화가 없다면 전체적인 소비 지출은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porqu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