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르신 한 분을 잃는 것은 큰 도서관 하나를 잃는 것과 같습니다.”

 서울 성북구청장은 “노인은 단순히 복지 수혜 대상이 아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구청장은 노인이 우리 사회의 당당한 일원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이런 기조에 따라 노인 공동 작업장을 만들고, 노인 쉼터를 세대통합형 공동생활 공간으로 만들고 있다.

 석관동에 들어선 ‘제1 어르신 사랑방’은 그 구체적 사례다. 사랑방은 지역의 종이가방 제조업체·복지관·성북구 3자 협약으로 탄생한 공동 작업장이다. 그는 “이곳에서 일하시는 어르신들이 일을 하면서 보람을 느끼고, 가족에게도 당당하게 됐다고 말씀하신다”며 “이전에는 경로당에서 화투를 치거나 장기를 두는 정도였는데 삶이 달라졌다는 이야기다”고 말했다. 노인의 경험이 지역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설명이다.

 성북구가 노인 공동택배 사업 운영으로 안정적인 일자리를 창출한 것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달에는 정릉동에 ‘청수골 어르신 도서관’을 개관해 노인정이 아니라 도서관으로 향하는 노인들의 발걸음이 늘고 있다. 성북구에는 65세 이상 노인이 전체 구민의 12.4%인 6만여명이 거주하고 있을 정도로 비율이 높다.

 ‘어르신 행복 도시 성북’을 구정의 한 축으로 삼고 있는 성북은 보육과 교육에도 관심을 쏟고 있다. 아동의 생존·보호·발달·참여의 권리를 치밀하게 보장하려는 노력을 펼치고 있다. 이런 노력을 인정받아 지난해 말 유니세프로부터 국내 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아동친화 도시’로 선정됐다.

 “어르신들의 지역사회 참여와 아동친화적인 환경 조성은 세대를 아우르는 세대통합형 사회를 향한 발걸음”이라며 “저출산과 고령화의 문제를 해결하는 창조적인 방안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세대통합형 사회를 향한 굳건한 시선은 여성·노약자·청소년의 안전한 귀가를 위한 ‘안심귀가 마을 버스 운영’에서도 확인된다. 안심귀가 마을 버스 운영은 서울시 안팎에서 행정혁신 사례로 꼽힌다. 김 구청장이 내놓은 또 하나의 혁신 사업은 ‘인간다운 삶을 위한 생활 임금제’ 도입이다. 구청장의 행정명령으로 청소·경비·주차 등 저임금 노동자를 대상으로 지난해 전국 최초로 도입해 법률이 정한 최저임금보다 31% 많은 6852원을 지급하고 있다.


세계일보 박종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