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는 게 많아지면서 세상이 편리해졌죠.

   하지만 반대로 고령층은 생활이 더 불편해졌다는 호소가 많습니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최재영 기자가 짚어봅니다.


   <기자>


   서울에 있는 한 패스트푸드 음식점입니다.
   방역 출입기록을 남기는 손님 가운데, 대부분은 스마트폰 QR코드를 읽히고 바로 입장합니다.   
   그런데 고령층들은 인적사항을 손으로 적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승희/72세 : 한 번 하는데 잘 안 돼서 아예 포기해 버리고 그냥 그렇게 (종이에 써요.)]
  
   세대 간 디지털 격차가 얼마나 큰지, 20대와 65세 이상

   각각 10명에게 디지털 기기 활용 경험을 물어봤습니다.
   QR 코드로 개인인증을 할 수 있다면 앞으로 한 칸, 그렇지 않다면 제자리.   
   키오스크 이용에 어려움이 없으면 또 앞으로 한 칸.
  
   [박○옥/74세 : (온라인 장보기를 딸이) 가르쳐줬거든. 그래서 한번 했는데 또 잊어버리고,

   한번 이 귀로 들으면 이 귀로 나가고...]
  
   모두 열 가지 질문을 물었더니, 20대가 모두 10칸 가운데, 평균 9칸을 나간 반면

   65세 이상은 겨우 3칸 만 앞으로 나갔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고령층을 위한 로봇 교육이 생겼습니다.   
   또 햄버거를 주문하거나 KTX 표 예약하기처럼 거리에서 만날 수 있는

   디지털 환경에 대한 교육도 이뤄집니다.
  
   주로 지자체들이 복지관이나 주민센터에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디지털에 취약한 고령층이, 차별을 받거나 불평등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사회적인 배려도 필요합니다.




출처 : SBS 뉴스


*원본 뉴스 확인하러 가기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089963&plink=SEARCH&cooper=SBSNEWSSEARCH